ETC18 2025 AI의 기술 트렌드?? rag은 llm모델의 ai의 자체적인 데이터 + 검색(구글링)을 통하여 데이터를 양질로 만들어줌rag , mcp , 바이브 코딩 파이토치은 머신 러닝 라이브러리로, 주로 딥 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훈련하는 데 사용 주로 언어 모델과 외부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랭체인을 활용하면 RAG 시스템을 보다 쉽게 구현 랭그래프는 랭체인의 기능을 확장하여 복잡한 에이전트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둠 다양한 에이전트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더 높은 수준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랭체인과 랭그래프 프레임워크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임 ai에서 Temperature는 생성된 텍스트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조절하는 하이퍼파라미터 주로 확률 분포를 조정하.. 2025. 4. 14. 이클립스 플러그인 emmit : html을 탭을 이용해서 쉽게 사용 tern : 자바스크립트 자동완성 2025. 3. 4. 웹 접근성이란? 웹의 기본 이념은 모든 사람이 차별 없이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요컨대, 웹을 이용할 때 장애인이나 고령자가 비장애인이나 젊은 세대와 차별 없이 동등하게 웹에 접근할 수 있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합니다. 2025. 1. 13. 검색 엔진의 인식방식 hn 태그로 작성된 텍스트는 검색 엔진에서 키워드로 인식합니다. 따라서 검색 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위해 본문에서 핵심이 되는 내용으로 제목이나 주제를 잘 선택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검색 엔진은 hn 태그를 검색할 때 h1 태그부터 단계적으로 검색합니다. 만약 h4 태그를 사용하지 않고 h1, h2, h3, h5, h6 태그를 사용한다면 검색 엔진은 h1 태그부터 단계적으로 태그를 검색하다가 h4 태그가 없으면 h5, h6 태그를 검색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hn 태그는 중간에 숫자를 건너뛰지 말고 h1 태그부터 단계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SEO는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검색 엔진에서 상위에 랭크(rank)될 수 있도록 검색 엔진에 친화적으로 마크업(.. 2025. 1. 13. HTML의 title 태그를 반드시 1개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구글이나 네이버 같은 검색 엔진 사이트에서 HTML 문서를 찾을 때는 title 태그에 작성된 제목으로 찾습니다. 만약 한 웹 사이트에서 제목이 중복된 문서가 여러 개 발견된다면 검색 엔진은 해당 웹 사이트가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서 검색 엔진 노출 시에 불이익을 줍니다. 2025. 1. 13. 데이터의 용량이 높아서 안넘어갈때 DB에 데이터를 저장해야되는데데이터의 용량이 높을때자바스크립트에서 자바로 데이터가 넘어가질 않음 POST 방식으로 넘길시 톰캣의 server.xml에서 maxPostSize="10485760" 이걸 추가 기본값이 2MB인데 용량을 10MB으로 수정함 -1은 무제한 2024. 12. 30. 이전 1 2 3 다음